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환절기 불청객 ----뇌졸증!

  환절기가 뇌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이유,  큰 일교차와 급격한 기온 변화 때문.  이러한 기온 변화는 우리 몸의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게 됨. 뇌졸중에 대해서 알아보자! 뇌졸중이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허혈성 뇌졸중),  터지면서(출혈성 뇌졸중) 뇌에 손상을 뇌졸중(腦卒中)이라고 한다.  중풍은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막연한 병명이고,  의학용어인 뇌졸중이 정확한 병명이다. 뇌혈관의 구조 MRA(자기공명 영상 혈관조영술)로 보는 뇌혈관 뇌졸중의 종류 2가지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의 약 87%를 차지하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서 뇌조직이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하여  뇌세포가 죽게 되는 경우. 뇌경색은 다시 크게 세 가지. 1. 뇌혈전증(혈전성 뇌경색)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생기면 혈관이 점점 좁아지고 또한 혈관 내면이 상처받기 쉽게 되어       서 이곳에 피가 응고되어 혈전(피떡)을 형성하게 되는데, 점차 진행되면 결국 뇌혈관이 완전       히 막힐 수 있음. 2. 뇌색전증(색전성 뇌경색)      심장판막증이나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때 심장 내의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서 부       분적으로는 한 곳에 고여 있는 것처럼 되므로 피가 응고하여 혈전이 뇌혈관을 막음. 3. 열공성 뇌경색     뇌의 아주 작은 혈관이 막히는 경우이므로 병변의 크기는 크지 않으며 원인은 대부분 고혈압. 뇌출혈(출혈성 뇌졸중) 뇌로 가는 혈관이 터지면서 출혈이 발생. 이로 인한 뇌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발생 30일째 35∼52%의 사망률을 보이며, 사망의 절반은 첫 2일 안에 발생. 뇌출혈은 발생부위에 따라 두 가...

복날의 유래는?



더위도 피해가는 날, 복날 이야기

– 유래부터 건강관리까지, 삼복의 모든 것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 어김없이 달력 한켠에서 눈에 띄는 이름, 

초복·중복·말복.


더운 날 더 뜨거운 음식을 먹는 풍습, 

이른바 ‘이열치열’의 대표 주자인 복날은 단순히 보양의 의미를 넘어,

 긴 여름을 이겨내기 위한 슬기와 전통이 담긴 날입니다.


복날의 역사적 유래는?

우리나라의 유래인줄 알았는데, 복날은 중국 고대의 오행설과 음양설에서 비롯된 돠었다고 하네요. 

"복(伏)"이란 **‘숨어서 쉰다’**는 뜻으로, 

양(陽)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자, 

음기(陰氣)가 땅속에 숨어 있는 시기를 말합니다.


즉, 너무 뜨거운 날이라서 모든 생명체가 기운을 잃고 쉬어야만 하는 시기

그래서 ‘복’이 든 날로 이름 붙여졌다고 합니다. 

동양의학적으로도 여름은 심장(心)을 다스리는 계절입니다. 

심장은 땀을 조절하고 정신을 주관하는데, 

더위로 인해 쉽게 지치고 피로하며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어,

 이 시기에 영양을 보충하고 기운을 북돋아야 한다는 합니다.


이런 이론에 따라 **몸을 보하는 약선(藥膳)**이 발전했고, 

복날엔 체력을 보강하고 병을 예방하는 음식을 챙겨 먹는 문화가 자리 잡았습니다.


삼복날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복날은 음력 기준으로 정해지며, ‘초복·중복·말복’ 세 번의 날을 말합니다.


정확한 계산법은 조금 복잡하지만, 쉽게 풀면 이렇습니다:

  • 초복(初伏) : 하지(夏至) 후 세 번째 경일(庚日)
  • 중복(中伏) : 초복 이후 열 번째 경일
  • 말복(末伏) : 중복 이후 열 번째 경일

👉 경일이란?
십간 중 일곱 번째인 '경(庚)'이 들어간 날을 말합니다.
이 계산법에 따라 해마다 삼복의 날짜는 조금씩 달라지며, 대략 7월 중순~8월 중순 사이에 해당합니다.

🗓️ 2025년 삼복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복: 7월 20일(일)
  • 중복: 7월 30일(수)
  • 말복: 8월 9일(토)

중복과 말복 사이의 간격에 따라 삼복의 기간은 20일 또는 30일로 달라집니다.
2025년은 중복~말복이 20일 간격이므로 **"말복이 짧은 해"**입니다.


전통 복날 풍습과 음식

옛사람들도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썼습니다. 

대표적인 복날 풍습과 음식들을 소개할게요.

🍗 대표 보양식

  1. 삼계탕 – 어린 닭 속에 찹쌀, 인삼, 대추, 마늘 등을 넣고 푹 끓인 대표 보양식.
  2. 백숙 – 삼계탕보다 국물이 적고 담백한 보양 음식.
  3. 보신탕(개장국) – 예로부터 기력을 보충하는 음식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찬반 논란이 있어 선호가 갈립니다.
  4. 추어탕 – 미꾸라지를 갈아 끓인 국으로 단백질과 칼슘 보충에 탁월합니다.
  5. 장어구이 – 스태미너 식품으로 여름철 인기 있는 보양식입니다.

🍉 그 외 전통 풍습

  • 탕약 복용 : 더위를 이기고 원기 회복을 위해 한약을 지어 먹었습니다.
  • 부채·단오부적 : 복날엔 부채를 선물하며 무탈한 여름을 기원했고, 몸에 부적을 붙이기도 했습니다.
  • 물맞이 풍습 : 계곡물이나 시냇물에 몸을 담가 열을 식히며 건강을 기원했습니다.

복날 기간, 건강은 이렇게 챙기세요!

무더위는 단순히 불쾌한 게 아니라, 체내 수분과 전해질 손실, 면역력 저하, 심혈관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복날 기간의 건강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 복날 건강관리 수칙

  1. 충분한 수분 섭취 : 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시기. 이온 음료보다는 물+소금 약간이 효과적
  2. 과도한 냉방 피하기 : 냉방병 방지를 위해 실내외 온도차를 5~7도 이내로 유지
  3. 가벼운 운동 : 기운이 빠질수록 가벼운 스트레칭과 산책은 오히려 도움
  4. 신선한 제철 음식 섭취 : 오이, 수박, 참외, 가지, 팥 등은 열을 식히고 이뇨작용에 도움
  5. 소화 부담 줄이기 : 무더위에는 위장이 약해지므로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죽이나 국물요리 위주로 섭취

마무리하며

‘복날’은 단순히 삼계탕 먹는 날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은 가장 더운 시기를 몸을 돌보고 마음을 살피는 시간으로 삼았고, 

그 정신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운 날, 나를 위한 작은 쉼표 하나.


올해 복날 엔 ‘잘 먹고, 잘 쉬고, 잘 웃기’ 한 가지씩 실천해보면 어떨까요?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