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환절기 불청객 ----뇌졸증!

  환절기가 뇌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이유,  큰 일교차와 급격한 기온 변화 때문.  이러한 기온 변화는 우리 몸의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게 됨. 뇌졸중에 대해서 알아보자! 뇌졸중이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허혈성 뇌졸중),  터지면서(출혈성 뇌졸중) 뇌에 손상을 뇌졸중(腦卒中)이라고 한다.  중풍은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막연한 병명이고,  의학용어인 뇌졸중이 정확한 병명이다. 뇌혈관의 구조 MRA(자기공명 영상 혈관조영술)로 보는 뇌혈관 뇌졸중의 종류 2가지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의 약 87%를 차지하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서 뇌조직이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하여  뇌세포가 죽게 되는 경우. 뇌경색은 다시 크게 세 가지. 1. 뇌혈전증(혈전성 뇌경색)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생기면 혈관이 점점 좁아지고 또한 혈관 내면이 상처받기 쉽게 되어       서 이곳에 피가 응고되어 혈전(피떡)을 형성하게 되는데, 점차 진행되면 결국 뇌혈관이 완전       히 막힐 수 있음. 2. 뇌색전증(색전성 뇌경색)      심장판막증이나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때 심장 내의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서 부       분적으로는 한 곳에 고여 있는 것처럼 되므로 피가 응고하여 혈전이 뇌혈관을 막음. 3. 열공성 뇌경색     뇌의 아주 작은 혈관이 막히는 경우이므로 병변의 크기는 크지 않으며 원인은 대부분 고혈압. 뇌출혈(출혈성 뇌졸중) 뇌로 가는 혈관이 터지면서 출혈이 발생. 이로 인한 뇌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발생 30일째 35∼52%의 사망률을 보이며, 사망의 절반은 첫 2일 안에 발생. 뇌출혈은 발생부위에 따라 두 가...

대한민국 역사속 8월의 발자취!

대한민국 역사, 8월의 발자취: 1900년 이후 주요 사건 정리

8월의 뜨거운 태양이 작열하는 이 시기, 대한민국은 수많은 격변의 순간들을 지나왔습니다. 19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8월은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이 담긴 중요한 사건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단순히 날짜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교훈을 되새겨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잊지 말아야 할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오늘의 우리가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희생과 노력이 있었는지를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광복의 감격과 혼란 (1940년대)
 * 1945년 8월 15일: 광복절
   * 사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며, 36년간의 일제강점기가 막을 내렸습니다.
   * 의의: 우리 민족에게는 잃었던 주권을 되찾은 감격스러운 날이자, 새로운 국가 건설의 첫걸음을 내딛은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사건: 미군정의 통치에서 벗어나,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취임했습니다.
   * 의의: 자주적인 국가로서의 공식적인 탄생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지만, 남북 분단이라는 비극의 시작이기도 했습니다.

2. 민주주의를 향한 투쟁 (1960년대~1980년대)
 * 1961년 8월 12일: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사건: 박정희 정부가 경제 성장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 의의: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급격한 경제 성장의 시발점이 된 중요한 정책입니다.

 * 1974년 8월 15일: 육영수 여사 피격 사건
   * 사건: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는 문세광의 총탄에 육영수 여사가 사망했습니다.
   * 의의: 충격적인 사건으로, 당시 국민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으며, 한국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1987년 8월 5일: 8월 항쟁
* 사건: 6월 민주항쟁의 여파로 전두환 정부가 직선제 개헌을 수용하고,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학생 시위입니다.
   * 의의: 민주화를 향한 열망이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 현대사의 주요 사건들 (1990년대 이후)

 * 1997년 8월 12일: 외환위기 IMF 구제금융 신청
   * 사건: 급격한 외환 보유고 감소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했습니다.
   * 의의: 대한민국의 경제 시스템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했던 사건이며,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습니다.

 * 2000년 8월 15일: 제1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 사건: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서울과 평양에서 처음으로 이산가족들이 상봉했습니다.
   * 의의: 분단된 가족들의 아픔을 달래고, 남북 화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 2007년 8월 8일: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 사건 해결
   * 사건: 탈레반에 피랍되었던 한국인 인질들이 모두 석방되었습니다.
   * 의의: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일깨워준 사건입니다.
 * 2018년 8월 29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
   * 사건: 판문점선언 이후, 남북 간의 상시적인 소통을 위해 개성공단에 공동연락사무소가 개소했습니다.
* 의의: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교류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에필로그
8월은 우리 역사 속에서 광복의 환희와 분단의 아픔, 그리고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과 경제 성장의 희망이 교차하는 달이었습니다. 잊지 말아야 할 역사를 기억하고, 이를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월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어나갈 지혜와 용기를 얻기를 바랍니다.


#광복절 #대한민국역사 #8월의역사 #한국현대사 #역사공부 #광복 #대한민국정부수립 #IMF외환위기 #남북이산가족상봉 #민주화운동 #역사적사건 #기억해야할역사 #역사블로그 #역사여행 #오늘의역사 #역사이야기

댓글

가장 많이 본 글